오픈 소스 목차 역사 컨트리뷰션 오픈소스 프로젝트 구성원 소스가 공개되는 이유 장점 단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하드웨어 오픈 소스 관련 단체 및 기업 오픈 소스 관련 인물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History of the OSI오픈소스하드웨어 단체오픈 소스란?OSI“오픈소스 가이드”“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는 7가지 이유”“Secure Programming for Linux and Unix HOWTO”오픈 소스 라이선스 가이드삼성전자 뉴스룸 - 소프트웨어도 맞들면 낫다? 갈수록 힘 얻는 ‘오픈소스’ 이야기eh4548264-0

Multi tool use
자유 소프트웨어란 무엇인가GNU 프로젝트오픈 소스BSD다윈GNU리눅스미닉스오픈솔라리스ReactOS하이쿠그놈마테LXDEKDE SCROXXfce자유 소프트웨어 재단리눅스 재단모질라 재단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이클립스 재단Xiph.Org 재단
자유 소프트웨어사회적 정보 처리
소프트웨어하드웨어원시 코드오픈 소스 라이선스History of the OSI1998년2월 3일넷스케이프 브라우저마이크로소프트정부다국적 기업대학교연구소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3.1%EC%9A%B4%EB%8F%99_100%EC%A3%BC%EB%85%84_%EA%B8%B0%EB%85%90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E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C/au003E(~4.11) 오프라인 모임이 4월 7일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C/au003E이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오픈 소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픈 소스(open source, 문화어: 공개원천)는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의 제작자의 권리를 지키면서 원시 코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혹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준하는 모든 통칭을 일컫는다. 어원에 대해서는 History of the OSI 자료에 따르면, 1998년 2월 3일에 넷스케이프 브라우저의 원시 코드에 대해 어떠한 형태로 공개할까하는 전략회의에서 붙여진 새로운 용어라고 설명되어 있다.
소스 코드를 공개한다고 해서 모두 오픈 소스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는 전체 비율로 보았을 때 극소수의 고객(주로 정부나 거대 다국적 기업 또는 대학교 및 연구소)들에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소스를 공개했다. 오로지 보안 유지를 위해서만 소스를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며, 그 수정본을 재배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이것은 오픈 소스의 의의에 어긋나므로 이러한 경우는 오픈 소스라 부르지 않는다.
광의의 의미로는 이렇게 원래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유래했지만 현재에는 오픈 소스 방식이라고 칭하는 가치들인 공동참여,오픈교환,투명성등을 두루 일컫는 개념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식을 일부분으로 포함 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목표로 표방하는 행위까지로 넓혀져 가고 있다. [1]
목차
1 역사
2 컨트리뷰션
3 오픈소스 프로젝트 구성원
4 소스가 공개되는 이유
5 장점
6 단점
7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8 오픈 소스 하드웨어
9 오픈 소스 관련 단체 및 기업
10 오픈 소스 관련 인물
11 같이 보기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
컨트리뷰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는 모든 활동을 컨트리뷰션이라고 한다. 버그 수정, 기능 추가, 소스 코드 수정, 코드 테스트와 같은 중요한 활동 이외에도, 오타 수정, 번역, 가이드 문서 작성, 디자인 작업, 의견 제시와 같은 사소한 활동도 컨트리뷰션에 해당한다.
사람들이 컨트리뷰션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로 사용하던 오픈소스를 개선한 경우 자신만 사용하면 버전업이 될 때마다 추가로 패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컨트리뷰션을 한다. 둘째로 개인의 개발 실력 향상과 영어능력 향상을 위해서 하는 경우도 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특히 개발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셋째로 오픈소스 활동은 공개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구직 활동 시 자신의 이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성을 높이려고 기여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사람들은 기여를 한다.[2]
오픈소스 프로젝트 구성원
대부분 오픈소스 프로젝트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2]
- 사용자
- 컨트리뷰터: 컨트리뷰션을 하는 모든 사람들
- 커미터: 컨트리뷰션 내용을 리뷰하고 프로젝트에 반영할지 결정하는 사람. 없는 경우도 있음.
- 메인테이너: 프로젝트 방향 설정, 관리하는 사람. 보통 커미터 중 일부가 맡으며, 없는 경우도 있음
- 저작자: 프로젝트 만든 사람 또는 조직
소스가 공개되는 이유
[2]
- 이미 있는 오픈소스를 포크하여 새 프로젝트가 만들어지는 경우, 라이선스때문에 공개해야함
- 소프트웨어를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외부 개발자들이 참여하도록 하면 더 다양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시험해보고 품질을 높일 수 있음.
- 사회 공헌을 위해.
-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법이 될수있다.
장점
[3]
- 이용에 비용이 들지 않거나 적다.
- 원하는 대로 변형 가능
- 보안 취약점이 쉽게 발견된다. 그러나 오픈소스가 보안 측면에서 더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4]
- 누구나 버그를 고칠 수 있다.
- 특정 벤더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단점
[3]
- 비숙련 사용자들은 사용이 어렵다.
- 이미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가 있는 경우 호환성 문제가 발생
- 고객지원이 불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패키지 목록
- 오픈 폰트 라이선스
오픈 소스 하드웨어
SPARC -공개 CPU 아키텍처
RISC-V -버클리대학교 공개 CPU 아키텍처
비글보드 - 초소형(싱글보드) 컴퓨터 마더 보드
바나나 파이- 싱글보드 컴퓨터 마더보드
GP32, GP2X(F100, F200, Wiz)- 판도라
오픈 소스 관련 단체 및 기업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오픈소스하드웨어 단체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 모질라
- 파이썬
레드햇-오픈 소스란?
테슬라- "기술의 우수성을 증명하는것은 특허가 아닙니다." [5]- 구글
OSI-오픈 소스 이니셔티브
오픈 소스 관련 인물
- 리누스 토발즈
- 리처드 스톨만
- 빌 조이
- 에릭 레이먼드
- 미겔 데 이카사 (Miguel de Icaza)
같이 보기
- 협업
- 팀워크
- 오픈 소스의 정의
공유 리더십(en:Shared leadership, 수평적 리더십)- 자유 소프트웨어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 오픈 소스 라이선스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자비로운 종신독재자(BDFL)- 사유 소프트웨어
각주
↑ "오픈 소스"란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액세스하여 수정할 수 있는 코드를 의미합니다. 원래 "오픈 소스"라는 용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유래했지만 현재는 오픈 소스 방식이라고 칭하는 가치들을 두루 일컫습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 제품 또는 계획은 오픈 교환, 공동 참여, 신속한 프로토타입 제작, 투명성, 능력 위주의 환경 및 커뮤니티 개발을 포용하고 홍보합니다-레드햇,https://www.redhat.com/ko/insights/open-source
↑ 가나다 “오픈소스 가이드”.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가나 Paul Rubens (2014년 2월 13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는 7가지 이유”. 《CIO Korea》.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 David A. Wheeler. “Secure Programming for Linux and Unix HOWTO”. 2018년 4월 12일에 확인함.
↑ "기술의 우수성을 증명하는것은 특허가 아닙니다. 특허는 강력한 경쟁자에 대해 스스로를 지키는 미미한 보호 수단에 불과 할뿐이라는 사실을 역사가 이미 증명했습니다. 우수성은 세계 최고의 엔지니어를 유치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회사의 능력에 따라 정의 됩니다. 우리는 오픈 소스를 특허에 전용하는 것이 Tesla의 위상을 약화하지 않고 오히려 강화할 것이라 믿습니다. -TESLA MOTORS, CEO, Elon Musk" - Tesla: 특허기술공개, https://www.redhat.com/ko/insights/open-source
외부 링크
- 오픈 소스 라이선스 가이드
- 삼성전자 뉴스룸 - 소프트웨어도 맞들면 낫다? 갈수록 힘 얻는 ‘오픈소스’ 이야기
분류:
- 자유 소프트웨어
- 사회적 정보 처리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200","walltime":"0.273","ppvisitednodes":"value":457,"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1666,"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206,"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7,"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563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219.304 1 -total"," 39.68% 87.014 1 틀:각주"," 28.74% 63.026 2 틀:웹_인용"," 15.39% 33.743 1 틀:본문"," 14.27% 31.285 1 틀:전거_통제"," 9.54% 20.923 1 틀:자유-오픈_소스_소프트웨어"," 7.89% 17.305 1 틀:둘러보기_상자"," 3.36% 7.358 1 틀:뉴스_인용"," 3.16% 6.929 1 틀:문화어"," 2.51% 5.503 1 틀:참고"],"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71","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2490671,"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00","timestamp":"20190331230127","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30,"wgHostname":"mw1322"););n3 86Jzyf,zieUcavZ4AATCQcDc0JHNfjdzaEEP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