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로카르포스목 목차 하위 분류 계통 분류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스파이로카르포스목2650514510.1111/nph.13716Sphaerocarpos texanus의 사진eh
우산이끼류
우산이끼류스파이로카르포스과리엘라과하플로미트리움목엷은잎우산대이끼과네오호지소니아과리엘라과모노카르푸스과스파이로카르포스과초승달우산이끼과우산이끼과두모르티에라과삿갓우산이끼과클레베아과모노클레아과패랭이우산이끼과옥시미트라과둥근이끼과조개우산이끼과방울우산이끼과모노솔레니움과키아토디움과코르시니아과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3.1%EC%9A%B4%EB%8F%99_100%EC%A3%BC%EB%85%84_%EA%B8%B0%EB%85%90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E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C/au003E(~4.11) 오프라인 모임이 4월 7일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C/au003E이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스파이로카르포스목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 Sphaerocarpos texanus Aust. | ||||||||||
생물 분류 | ||||||||||
---|---|---|---|---|---|---|---|---|---|---|
| ||||||||||
과 | ||||||||||
|
스파이로카르포스목(Sphaerocarpales) 은 우산이끼류에 속하는 목이다. 3개 과, 약 2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파이로카르포스과 (Sphaerocarpaceae), 리엘라과 (Riellaceae) 그리고 멸종한 나이아디타과(Naiaditaceae)가 있다. 나이아디타과의 분류학적 위치는 불확실하며, 하플로미트리움목에 포함시켜 분류하기도 한다.
목차
1 하위 분류
2 계통 분류
3 각주
4 외부 링크
하위 분류
스파이로카르포스과 (Sphaerocarpaceae)
Geothallus - 1종
Sphaerocarpos - 8종 또는 9종
리엘라과 (Riellaceae)
리엘라속 (Riella) - 약 18종
† Naiaditaceae
Naiadita - Naiadita lanceolata
계통 분류
다음은 2015년 빌라레알(Villarreal) 등의 연구에 기촌한 우산이끼강의 계통 분류이다.[2]
우산이끼강 |
| |||||||||||||||||||||||||||||||||||||||||||||||||||||||||||||||||||||||||||||||||||||||||||||||||||||||||||||||
각주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스파이로카르포스목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스파이로카르포스목 |
↑ Cavers, F. (1910).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bryophytes. I. Sphaerocarpales”. 《New Phytologist》 9: 81–92.
↑ Villarreal; 외. (2016). “Divergence times and the evolution of morphological complexity in an early land plant lineage (Marchantiopsida) with a slow molecular rate”. 《New Phytologist》 209 (4): 1734–46. PMID 26505145. doi:10.1111/nph.13716.
외부 링크
Sphaerocarpos texanus의 사진
분류:
- 우산이끼류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272","walltime":"0.351","ppvisitednodes":"value":2111,"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26302,"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165485,"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40,"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2489,"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280.868 1 -total"," 63.75% 179.064 20 틀:분지군"," 27.78% 78.019 1 틀:각주"," 22.85% 64.167 2 틀:저널_인용"," 22.15% 62.221 2 틀:Sister"," 20.47% 57.489 1 틀:위키공용분류"," 20.41% 57.331 2 틀:사이드_박스"," 19.16% 53.825 1 틀:생물_분류"," 13.74% 38.603 1 틀:계통도/우산이끼강"," 12.83% 36.037 1 틀:우산이끼문"],"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77","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2735990,"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38","timestamp":"20190311040258","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50,"wgHostname":"mw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