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목차 역사 지리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북위 46° 57′ 동경 7° 27′ / 북위 46.95° 동경 7.45° / 46.95; 7.45북위 47° 22′ 00″ 동경 8° 33′ 00″ / 북위 47.366667° 동경 8.5500° / 47.366667; 8.5500중앙일보, 2018.03.16. http://news.joins.com/article/22446580문단을 편집“주 스위스 대사관”원본 문서http://news.joins.com/article/22446580Neutrality and isolationismArchived“스위스北傀 修交합의”“스위스 연방 통계청 2012년 조사”원본 문서스위스스위스 연방 정부스위스 관광청주 대한민국 스위스 대사관ehehehehehehehWorldCat154323889n790629780000 0001 2299 46144053881-3026438658cb11868612h(데이터)98258053553506300871917ge131576
서기장실각료위원회입법회의총회인권재판소인권판무관사법효율 판무관반인종주의 반불관용 판무관캐나다성좌이스라엘일본멕시코미국몰타 주권 기사수도회노르웨이리히텐슈타인스위스아이슬란드가나가봉그리스기니기니비사우니제르도미니카 연방라오스레바논루마니아룩셈부르크르완다마다가스카르말리모나코모로코모리셔스모리타니몰도바바누아투베냉베트남벨기에부룬디부르키나파소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상투메 프린시페세네갈세이셸세인트루시아스위스아르메니아아이티안도라알바니아이집트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 공화국지부티차드카메룬카보베르데카타르캄보디아캐나다코모로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키프로스토고튀니지프랑스중화인민공화국인도네시아싱가포르라오스브루나이캄보디아미얀마베트남인도대한민국파키스탄네팔방글라데시오만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스리랑카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카자흐스탄몰디브터키몽골이스라엘아제르바이잔조지아키르기스스탄이란아랍에미리트필리핀태국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아프가니스탄말레이시아홍콩동티모르키프로스피지바누아투사모아바레인러시아영국오스트리아룩셈부르크이탈리아프랑스스위스네덜란드핀란드노르웨이몰타포르투갈아이슬란드스웨덴폴란드덴마크헝가리스페인아일랜드루마니아벨라루스수단이집트에티오피아마다가스카르캐나다쿠웨이트아르메니아레바논통가쿡 제도파푸아뉴기니베네수엘라아르헨티나페루에콰도르볼리비아칠레브라질남아프리카 공화국알제리모로코리비아가나케냐토고벨기에그리스세르비아체코일본이라크콜롬비아나이지리아우크라이나
스위스내륙국연방제 국가독일어권프랑스어권이탈리아어권유엔 회원국유럽 평의회 회원국프랑코포니 회원국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
라틴어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중앙일보, 2018.03.16. http://news.joins.com/article/22446580중앙유럽연방공화국내륙국베른취리히타칭 국명슈비츠로마 제국헬베티족갈리아켈트족헬베티아족부르군트족알라족합스부르크신성 로마 제국1291년베른스위스 연방막시밀리안신성 로마 제국1499년바젤 조약베스트팔렌 조약1815년빈 회의파리 회의1847년존더분트스위스 통일전쟁1971년여성선거권알프스 산맥쥐라 산맥생 고타르생 베르나르레만 호뇌샤텔 호보덴 호연방의회 (스위스)국민의회 (스위스)1848년직접민주주의국민국민투표연방 수상그라우뷘덴주취리히주영세중립국빈 회의유럽 연합유엔2002년영세중립국대한민국1962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74년차정혁김국진박주호1954년월드컵[2]대한항공김정은중화인민공화국하나의 중국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베른베이징리히텐슈타인몽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몽골캐나다프랑코포니베른제네바오타와몬트리올토론토밴쿠버리히텐슈타인바하마쿠바이란미국이익대표부쿠바미국이란이익대표부이집트사우디아라비아징병제예비군이중국적자바티칸 시국무장중립국1953년한국전쟁중립국 감독위원회2006년독일어독일어장갑차아랍에미리트프랑스어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카슈미르인도파키스탄보수보수진보스위스 사회 민주당진보정당청년비무장중립국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로만슈어영어프랑스어요한나 슈피리하이디D-A-CH프랑코포니장 자크 루소아미엘페르디낭 드 소쉬르뱅자맹 콩스탕블래즈 상드라르16세기울리히 츠빙글리장 칼뱅종교개혁개신교개신교개혁교회개혁교회개신교요한나 슈피리하이디개신교현대신학칼 바르트유대교제2차 세계 대전중동동유럽이슬람교동방정교회미나레트사회권복지복지국가고용보험법1974년의무교육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프랑스어초등학교유럽전쟁혁명에라스무스칼 바르트릴케나치당아인슈타인앙리 뒤낭야코프 부르크하르트하이디요하나 슈피리그리스네덜란드노르웨이뉴질랜드대한민국덴마크독일라트비아룩셈부르크리투아니아멕시코미국벨기에스웨덴스위스스페인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아이슬란드아일랜드에스토니아영국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리아이스라엘이탈리아일본체코칠레캐나다터키포르투갈폴란드프랑스핀란드헝가리네덜란드노르웨이대한민국덴마크독일러시아미국벨기에브라질스웨덴스위스스페인아일랜드영국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리아이스라엘이탈리아일본캐나다프랑스핀란드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3.1%EC%9A%B4%EB%8F%99_100%EC%A3%BC%EB%85%84_%EA%B8%B0%EB%85%90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E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C/au003E이 3월 11일부터 4월 11일까지 진행됩니다.nu003C/pu003Eu003Cpu003E3월 30일 서울에서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8%A4%ED%94%84%EB%9D%BC%EC%9D%B8_%EB%AA%A8%EC%9E%84/2019%EB%85%84_%EB%8F%85%EC%84%9C_%26_%EA%B3%B5%EB%8F%99_%ED%8E%B8%EC%A7%91" title="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19년 독서 u0026amp; 공동 편집"u003E2019년 독서 u0026amp; 공동 편집 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pu003E3월 30일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8%A4%ED%94%84%EB%9D%BC%EC%9D%B8_%EB%AA%A8%EC%9E%84/2019%EB%85%84_3%EC%9B%94_30%EC%9D%BC_%EB%8C%80%EA%B5%AC" title="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19년 3월 30일 대구"u003E대구광역시에서 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스위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스위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스위스 연방 | |||||
---|---|---|---|---|---|
Confoederatio Helvetica(라틴어) 5개 언어 라틴어: Confoederatio Helvetica 헬베티아 연방[*] 독일어: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슈바이츠 연방[*] 프랑스어: Confédération suisse 쉬스 연방[*] 이탈리아어: Confederazione Svizzera 스비체라 연방[*] 로만슈어: Confederaziun Svizra 즈비츠라 연방 | |||||
| |||||
표어 | Unus pro omnibus, omnes pro uno | ||||
(라틴어: 전체는 하나를 위해, 하나는 전체를 위해) | |||||
국가 | 스위스 찬가 | ||||
수도 | 없음 (법률상) 베른 (사실상) 북위 46° 57′ 동경 7° 27′ / 북위 46.95° 동경 7.45° / 46.95; 7.45 | ||||
최대 도시 | 취리히 북위 47° 22′ 00″ 동경 8° 33′ 00″ / 북위 47.366667° 동경 8.5500° / 47.366667; 8.5500 | ||||
베른 취리히 | |||||
정치 | |||||
공용어 |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 ||||
정치체제 | 공화제, 민주제, 연방제, 입헌제 내각책임제(스위스식 회의체)¹ | ||||
연방평의회 | 알랭 베르세 (대통령) 윌리 마우러 (부통령) 도리스 로이타르트 시모네타 소마루가 요한 슈나이더아만 기 파르멜렝 이그나치오 카시스 | ||||
연방수상 | 월터 썬터 | ||||
역사 | |||||
독립 |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 ||||
• 선언 | 1291년 8월 1일 | ||||
• 연방정부 수립 | 1848년 9월 12일 | ||||
지리 | |||||
면적 | 41,285km2 (133 위) | ||||
내수면 비율 | 4.2% | ||||
시간대 | CET (UTC+1) | ||||
DST | CEST (UTC+2) | ||||
인구 | |||||
2015년 어림 | 8,211,700명 (98위) | ||||
인구 밀도 | 188명/km2 (65위) | ||||
경제 | |||||
GDP(PPP) | 2012년 어림값 | ||||
• 전체 | $3,694억 (35위) | ||||
• 일인당 | $45,418 (8위) | ||||
HDI | 0.913 (9위, 2012년 조사) | ||||
통화 | 스위스 프랑 (CHF) | ||||
기타 | |||||
ISO 3166-1 | 756, CH, CHE | ||||
도메인 | .ch | ||||
국제 전화 | +41 | ||||
1중앙일보, 2018.03.16. http://news.joins.com/article/22446580 |
스위스(독일어: Schweiz 슈바이츠[*], 프랑스어: Suisse 쉬스[*], 이탈리아어: Svizzera 스비체라[*], 로만슈어: Svizra 주비츠라)는 중앙유럽에 있는 연방 공화국이며, 내륙국이다. 수도는 법률상으로 없으나, 베른이 사실상 수도 기능을 하고 있으며, 최대 도시는 취리히이다. 오래 전부터 공식적으로 영세중립국을 표방하고 있다. 정식 명칭은 헬베티아 연방(라틴어: Confoederatio Helvetica 콘포이데라티오 헬베티카[*][1])이지만 스위스 연방(영어: Swiss Confederation 스위스 컨페더레이션[*], 독일어: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슈바이체리셰 아이트게노센샤프트[*], 프랑스어: Confédération suisse 콩페데라시옹 쉬스[*], 이탈리아어: Confederazione Svizzera 콘페데라치오네 스비체라[*], 로만슈어: Confederaziun svizra 콘페데라치운 주비츠라)이라 부르기도 한다. 국가 도메인은 .ch으로 Confoederatio Helvetica의 약자이다. 타칭 국명은 스위스 연맹을 지도적으로 형성했던 슈비츠(Schwyz) 주에서 유래하였고, 정식 명칭은 로마 제국 시기의 헬베티족 또는 갈리아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목차
1 역사
2 지리
2.1 지형
2.2 기후
3 정치
3.1 행정 구역
3.2 외교
3.3 국방
4 사회
4.1 주민
4.2 언어
4.3 종교
4.4 복지국가
4.5 교육
5 경제
6 문화
6.1 요리
6.2 공휴일
6.3 축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
기원전 5세기경 켈트족의 한 갈래인 헬베티아족이 스위스에 정착했다. 이들은 기원전 1세기 중반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군에 대패한 뒤로 급속히 로마화됐다. 5세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때 서부 지역에 부르군트족, 동부 지역에 알라만족이 정착했다. 부르군트족은 사실상 라틴화되었고 알라족은 게르만 색채를 유지하여 언어의 경계가 형성되었다. 중세에 와서 프랑크 왕국,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배출됨에 따라 스위스의 자치권은 위축되었다. 1291년 스위스 지역의 3인 대표가 현재의 수도 베른에 모여 자치 보존을 위해 영구 동맹을 맺은 게 스위스 연방(독일어: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프랑스어: Confédération suisse)의 기원이며, 이 동맹에 가담하는 주가 늘어났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신성 로마 제국 황제는 1499년 스위스를 공격하였으나 패하였고 바젤 조약에 따라 스위스는 독립을 승인받았다. 이후 베스트팔렌 조약에서 독립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이후 1815년 빈 회의에서 영세중립국이 되었고, 이는 파리 회의에서 재확인되었다. 1847년 가톨릭 분리주의 존더분트와 내전을 치른 스위스 통일전쟁을 겪은 이후에 스위스 최초로 중앙 정부가 들어섰지만 힘은 여전히 각 주의 정부보다 약했다. 스위스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도 여성에 대한 투표권 자체를 부여하지 않았으나 1971년에 스위스 정부는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였다.
지리
지형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서, 동서로 뻗은 알프스 산맥, 그 북서부에서 북동으로부터 남서로 뻗은 쥐라 산맥, 그리고 두 산맥 사이에 중앙 고원, 이렇게 세 지대로 대별된다. 알프스의 산릉에서 여러 깊은 계곡이 파여 심플론, 생 고타르, 생 베르나르 등의 고개와 레만 호, 뇌샤텔 호, 보덴 호 등의 호수가 있다.
기후
스위스는 전체적으로 산악기후이지만 복잡한 지형을 반영하여 변화무쌍하다. 연 평균 강우량은 북부 평지에서 1000mm전후, 남부 산록에서 2000mm에 가깝다. 기온은 7월의 평균이 20℃ 이하 1월에는 1℃ 전후이다. 고지대에서는 연간 6~7개월은 눈이 쌓인다. 2500m의 설선에서 위쪽은 빙설원 또는 빙하 지대이다.
정치
스위스는 양원제로, 상원인 연방의회 (스위스)와 하원인 국민의회 (스위스)에서 일부 국가 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스위스 정치는 1848년 연방 헌법에 따라 직접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국민들이 국가의 주요 정책 사항에 참여한다[2]. 또한 스위스 의회는 항상 정치적 중립을 지키고 있다. 반면 투표율은 40%대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다.[3]
스위스는 연방 헌법에 따라 18개월 내에 유권자 100,000명 이상의 서명을 받으면 누구나 헌법 개정안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에 대해 유권자 50,000명이 100일 이내에 서명한 명단을 제출하면 국민투표 회부를 요구할 수 있다.
스위스의 정부 형태는 기본적으로 내각제에 바탕하고 있다.[4] 즉 의회가 정부를 구성하고, 스위스의 대통령은 대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원수일뿐 행정부 수반은 아니다. 연방 정부는 연방 평의회라고 불리는데, 의회에서 선출되는 7명의 각료(장관)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방 평의회의 의장을 대통령이라고 부르는데, 7명의 각료들이 1년씩 번갈아가며 맡는다.[5] 스위스 대통령은 연방 평의회를 주재하지만, 다른 장관들과 상하 관계가 아니라 대등한 관계에 있다. 한편 내각제 국가에서는 보통 총리가 행정부 수반을 담당하지만, 스위스는 행정부 수반을 따로 두지 않고, 서로 대등한 관계인 7명의 각료들에 의한 집단 지도체제로 정부를 운영한다. 이 때문에 스위스 정부 형태를 스위스식 회의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방 수상이 있긴 하지만, 스위스 연방 수상은 행정부 수반이 아니라 연방 평의회가 결정한 사항을 집행하는 사무 기관일 뿐이다. 연방 수상은 연방 평의회를 구성하는 7명의 멤버가 아니며, 연방 평의회에 참석은 할 수 있지만, 투표권은 없다.
행정 구역
스위스 연방은 26개의 주(칸톤)로 이루어져 있다. 그라우뷘덴주가 가장 면적이 넓으며, 인구는 취리히주가 가장 많다.
발레 티치노 그라우뷘덴 제네바 보 뇌샤텔 쥐라 베른 투르가우 취리히 아르가우 루체른 졸로투른 바젤란트 샤프하우젠 우리 슈비츠 글라루스 장크트갈렌 아펜첼이너로덴 아펜첼아우서로덴 옵발덴 니트발덴 추크 프리부르 바젤슈타트 프랑스 이탈리아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독일 |
칸톤 | 주도 | 칸톤 | 주도 | ||
---|---|---|---|---|---|
아르가우 | 아라우 | *니트발덴 | 슈탄스 | ||
*아펜첼아우서로덴 | 헤리자우 | *옵발덴 | 자르넨 | ||
*아펜첼이너로덴 | 아펜첼 | 샤프하우젠 | 샤프하우젠 | ||
*바젤란트 | 리슈탈 | 슈비츠 | 슈비츠 | ||
*바젤슈타트 | 바젤 | 졸로투른 | 졸로투른 | ||
베른 | 베른 | 장크트갈렌 | 장크트갈렌 | ||
프리부르 | 프리부르 | 투르가우 | 프라우엔펠트 | ||
제네바 | 제네바 | 티치노 | 벨린초나 | ||
글라루스 | 글라루스 | 우리 | 알트도르프 | ||
그라우뷘덴 | 쿠어 | 발레 | 시옹 | ||
쥐라 | 들레몽 | 보 | 로잔 | ||
루체른 | 루체른 | 추크 | 추크 | ||
뇌샤텔 | 뇌샤텔 | 취리히 | 취리히 |
*이 칸톤들은 스위스 주 의회에서 두 명이 아니라 한 명의 의원에 의해 대표된다.
스위스의 칸톤은 다른 나라의 주와 비교했을 때, 상당한 자율성과 영구적 헌법상 지위가 있다. 연방 헌법에 따르면, 모든 26개 칸톤은 동등한 지위이다.
외교
스위스는 오래 전부터 영세중립국을 표방하고 있으며 비동맹외교를 외교 정책의 기조로 하고 있다. 1515년부터 사실상 영세중립국이었던 스위스의 위치는 1815년 빈 회의에서 열강들에 의해 국제적으로 공인되었다.[6] 이에 따라 유럽 연합(EU)에도 가입하지 않고 있다. 한편, 유엔(UN)에도 가입을 미루다가 2002년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정회원국으로 공식가입하였다.
스위스의 중립 정책에 따라서 많은 국제 기구가 본부를 스위스에 두고 있다.
- 대한관계
영세중립국으로서 남북 모두 수교하였으며 대한민국과는 196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1974년 수교하였다. 남한은 항공협정, 공업협정, 사증면제협정, 이중과세방지협정 등을 체결하였다. 한국 교민도 2011년 현재 약 2000명 거주한다. 북한의 축구 선수 차정혁과 김국진 선수, 남한의 축구 선수 박주호 선수가 스위스 축구 리그에 진출하였으며, 1954년에는 스위스에서 열린 월드컵에 남한 선수단이 출전하였다. 1974년 2월 27일, 북한은 스위스 취리히에 통상대표부를 개설하는 등 대 스위스 경제교류 촉진책을 써왔고, 1974년 12월 19일, 스위스는 북한과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발표하였다.[7] 스위스의 인도적 대북 지원량이 1997년 들어 급증하자, 1997년 8월 5일 부터 9일까지 발터 푸스트 스위스 외무성 인도주의협조총국장을 수석대표로 한 외무성대표단이 방북해 평양에 스위스 외무성 직원 1∼2명이 상주하는 사무소를 개설키로 북한과 비공개 합의했다. 1998년 평양 주재 스위스 외무성 사무소가 설치되었다.[2] 현재 스위스와 남한을 운항하는 항공편은 대한항공이 취리히와 인천을 연결하고 있지만 다른 나라를 경유해서 가기도 한다. 한때 김정은이 스위스에 유학을 가기도 하였다.
- 대중관계
스위스는 오래 전부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을 일찍 단교시키고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맺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스위스와 중화인민공화국 양국 대사관은 베른, 베이징에 각각 두고 있으나 스위스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리히텐슈타인을,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스위스 대사관은 몽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개국을 현재 겸임하고 있지만, 몽골과 북한에는 스위스 관련 외교 업무를 원활하게 치르는 출장소 형식의 사무소가 따로 존재하고 있다.
- 대 캐나다 관계
스위스와 캐나다는 같은 프랑코포니 회원국으로 되어 있어 외교 관계는 어느 정도 보장받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캐나다와 스위스 양국 모두 대사관과 영사관이 존재한다. 캐나다는 베른에 대사관을, 제네바에 영사관을 각각 둔 반면, 스위스는 오타와에 대사관을, 몬트리올과 토론토, 밴쿠버에 총영사관을 각각 두고 있으나 양국이 주변국을 겸임하는 곳은 캐나다 측은 리히텐슈타인을, 스위스 측은 바하마를 각각 겸임하고 있다.
- 대 쿠바·이란 관계
스위스는 쿠바와 이란에 대한 외교 관계를 보면 과거 미국과의 외교 단절 당시 자국에 마련된 대사관들을 전부 이익대표부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스위스가 쿠바에 마련한 이익대표부는 주로 쿠바와 미국 양국이 이에 해당되고, 이란의 경우 이란 주재 미국 대사관과 같은 구실을 스위스 대사관을 통해 운영되는 이익대표부 외에도 이란에 마련된 다른 국가 소재 이익대표국을 스위스가 맡고 있는 나라는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표적이다.
국방
2016년부터 징병제예비군 제도를 폐지한다.[8]
스위스 군은 육군과 공군으로 구성되며, 주로 20세에서 34세의 남성을 대상으로 징병제로 모집한다. 내륙국이기 때문에 해군은 존재하지 않으나, 국경 근처의 호수 등을 정찰하기 위해 무장된 정찰 보트가 있다. 이중국적자가 아니라면 외국에서 군 복무할 수 없으나, 예외적으로 바티칸 시국의 스위스 용병대에서는 근무가 가능하다.
현재 스위스는 영세중립국이자 무장중립국으로서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 이후 중립국 감독위원회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스위스 연방정부가 무기 수출을 결정한 사례가 2006년 독일어권 일간지에 의해 폭로되면서 영세중립국이라는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독일어권 일간지에서는 "스위스 연방정부가 장갑차 180대를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판매하기로 했다."라고 폭로했으며, 프랑스어권 일간지 〈트리뷴 드 주네브〉에서도 스위스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군사장비 거래실적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심지어는 영토분쟁-카슈미르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인도와 파키스탄에 장갑차와 대공방어시스템을 수출했는데, 현재 스위스 법에는 '분쟁지역 및 전쟁지역으로의 군사장비 수출을 금지한다'라고 되어 있다. 즉, 영세중립국으로서 다른 나라의 분쟁에 개입해서는 안되는 나라가 무기를 파는 자체모순을 보인 것이다.
이에 대해 중도보수에서는 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면서 무기 수출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을 보인 반면, 극단적 보수와 진보에서는 중립성이 훼손될 것이라면서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스위스 사회 민주당 등의 진보정당을 지지하는 청년들은 '무기 없는 스위스를 위한 모임'이라는 시민운동단체를 결성하여, 스위스의 무기수출에 반대하고 비무장중립국으로 체제를 바꾸는 운동을 하고 있다.[9]
사회
주민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 20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
스위스는 다문화국가이며, 독일계, 프랑스계, 이탈리아계, 로만슈계 등이 있다. 그 중 독일계가 가장 많다.
언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라틴어 파생 방언)의 네 언어가 공용어이다. 사용 인구 수는 독일어(64.9%), 프랑스어(22.6%), 이탈리아어(8.3%), 로만슈어(0.5%)의 순이다.[10] 한 가지 언어를 대표적으로 써야 하는 경우에는 이들 언어 중 하나를 고르지 않고, 대신에 중립언어인 영어를 사용하며 유엔 등 국제기구들에선 프랑스어를 스위스의 외교 언어로 쓰고 있다. 관공서에서 발행되는 모든 공공문서는 이들 네 공용어로 동시에 발행되며, 모든 학교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언어 이외에 다른 언어를 하나 이상 배우도록 의무화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스위스 사람들은 2개 국어 이상을 할 줄 안다.
스위스에서 사용하는 독일어(Schweizerdeutsch)는 독일에서 사용하는 표준 독일어(Hochdeutsch)와 차이가 난다. 하지만 학교 교육은 표준 독일어에 준하기 때문에 독일인들과 대화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반면에 독일인에게는 좀 우스꽝스러운 사투리로 들린다. 독일어권 작가의 글로는 요한나 슈피리의 《하이디》가 있다. 스위스는 D-A-CH 라틴어: Confoederatio Helvetica 일원이다.
스위스는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프랑스어로 집필을 했던 스위스인들로는 계몽사상가 장 자크 루소, 일기 작가 아미엘,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 뱅자맹 콩스탕, 시인 블래즈 상드라르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프랑스어 사용지역에서는 능력 있는 작가들을 상당수 배출했다.
종교
스위스는 연방 차원에서 정해진 국교가 없으며, 신앙의 자유가 보장돼 있다. .통계에 따르면 가톨릭(38.6%), 개신교(28%), 이슬람(4.5%), 무교(20.1%)이다.
16세기 울리히 츠빙글리와 장 칼뱅 등의 종교개혁으로 형성된 개신교도 스위스 교회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여러 개신교 종파가 개혁교회(Reformed)로 통합되었으며, 국민의 약 3분의 1 정도가 개혁교회 신자이다. 개신교는 주로 서부와 북서부 지역에 많지만, 이러한 종교의 분포는 언어의 경우만큼 뚜렷한 것은 아니다. 그 외에 소수의 다른 개신교 종파 신도도 있다. 요한나 슈피리의 소설 《하이디》를 읽어보면 개신교가 스위스 사람들의 삶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대신학의 첫 걸음으로 평가받는 칼 바르트도 스위스의 개혁교회 신학자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를 제외하면 유대교 신도가 가장 많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동과 동유럽 지역에서 들어온 이주민이 많아져서 지금은 이슬람교와 동방정교회 신도가 더 많다. 2009년 11월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이슬람교 첨탑(미나레트)을 새로 건설하는 것을 금지하는 안건(기존에 건설된 이슬람교 첨탑은 제외)이 전체 유권자 찬성 57.5%로 가결되어 종교의 자유 침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복지국가
스위스는 일찍부터 사회권 사상을 뿌리로 하여 스위스 국민들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복지국가이며, 국민개보험이 실시되고 노년, 과부보험 및 고용보험법이 연방법으로 정해졌다.
교육
교육수준은 높은 편으로 교육제도는 주에 따라 다르다. 1974년에 의무교육제도가 확립되었고 수업개시 시기와 취학연령에도 차이가 있다. 독일어권 지역의 학교는 프랑스어, 이탈리아어·프랑스어권 지역에서는 독일어·이탈리아어를 가르치는 등 초등학교 때부터 4개의 공용어를 위한 어학교육에는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다. 스위스는 유럽대륙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국 문화가 끊임없이 유입하는데다 3대 문화권(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데서 다채로운 문화가 형성되었다. 또 전쟁이나 혁명시의 도피처로서 창조적인 인물들을 숨겨주었다. 저명한 지식인들의 거주도 많아서 가톨릭 사제이자 교회개혁가였던 에라스무스는 바젤에 거주하였고, 개신교 신학자 칼 바르트는 스위스의 자펜빌에서 목회하면서 《로마서》(1922년)를 저술했으며, 릴케는 스위스 남부에 살았다. 나치당의 탄압을 받고 있던 아인슈타인도 학창시절과 말년에는 스위스에서 지냈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앙리 뒤낭, 역사학자인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하이디》를 지은 요하나 슈피리 등이 유명하다.
경제
스위스는 안정되고 번창하는 최첨단의 경제체제를 가지고 있고, 여러 통계에서 일인당 소득이 가장 높은 국가로 선정될 만큼 막대한 부를 누리고 있다. 2011년 일인당 부문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로 선정되었다. 명목 국내 총생산은 세계에서 19위, 구매력 평가에서는 36위이다. 작은 국토 면적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20위의 수출국이다.
문화
요리
공휴일
- 신년 1월 1~2일
성 금요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기념절기- 부활절
성 월요일: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당한 주간인 성 주간의 첫 번째 날이다.- 예수 그리스도 승천일
성령강림주일의 월요일
건국 기념일 8월 1일
크리스마스 12월 25일~26일
축제
국경일로서는 8월 1일의 독립기념일이 있는데 이 날은 부근의 가장 높은 산에서 화톳불을 피우고 남녀노소가 연방이나 주의 마크가 든 지등을 들고 행렬을 지으며, 기념강연, 예배, 합창 등을 한다. 3대 축제로는 제네바의 사보이 공에 대한 승리의 축제, 바젤의 카니발, 취리히의 길드제가 있다. 또 그밖의 가을의 포도 수확제, 산지의 목장에서 소가 하산해 온 것을 축하하는 축제, 사격동맹제 등이 있다. 또한 각 주마다 독특한 축제가 있어서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다.
- 2월에는 루체른과 바젤에서 사육제가 열린다.
- 5~7월에는 로잔에서 국제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 6월에는 취리히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 7~8월에는 융프라우주변에서 알펜제 축제를 연다.
- 8월에는 제네바 여름음악회를 연다. 8월 1일에 스위스의 건국 기념일이 있어 요들송 공연을 한다.
- 8월 중순~9월 초순에는 루체른 페스티벌이 있다.
- 11월에는 베른 양파 시장 등이 있다.
각주
↑ 라틴어로 'Helvetica'는 명사인 'Helvetia'의 형용사 표현이고 'confoederatio'는 명사로 연방이라는 뜻이다. 영어로 직역하면 'Helvetic confederation'이다.
↑ “주 스위스 대사관”. 2008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20일에 확인함.
↑ 《현대문명진단》/이원복 지음/조선일보사 출판국
↑ http://news.joins.com/article/22446580
↑ [1]
↑ Neutrality and isolationism Archived 2009년 6월 20일 - 웨이백 머신 swissworld.org, 2014년 8월 17일 확인.
↑ “스위스北傀 修交합의”. 동아일보. 1974년 12월 20일. 1면.
↑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50616140220901
↑ 윤석준, "스위스의 도덕성이 땅에 떨어졌다?", 한겨레21 2006년 7월 11일.
↑ “스위스 연방 통계청 2012년 조사”. 2016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스위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로만슈어/…) 스위스 연방 정부
(한국어) 스위스 관광청- 주 대한민국 스위스 대사관
분류:
- 스위스
- 내륙국
- 연방제 국가
- 독일어권
- 프랑스어권
- 이탈리아어권
- 유엔 회원국
- 유럽 평의회 회원국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1.164","walltime":"1.485","ppvisitednodes":"value":16293,"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97971,"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71858,"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9,"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3,"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893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1062.862 1 -total"," 28.22% 299.937 7 틀:둘러보기_상자"," 26.87% 285.576 1 틀:스위스_표"," 26.45% 281.089 1 틀:나라_정보"," 25.50% 271.002 1 틀:정보상자"," 18.19% 193.326 2 틀:둘러보기_상자_다단"," 16.37% 174.002 62 틀:국기나라"," 16.34% 173.712 1 틀:위키공용분류-줄"," 15.99% 169.927 1 틀:OECD"," 15.84% 168.397 1 틀:Sister-inline"],"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322","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8460127,"limit":52428800,"limitreport-logs":"14n","cachereport":"origin":"mw1337","timestamp":"20190320233704","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52,"wgHostname":"mw1329"););